2015031101010008371

[스포츠서울 고진현기자]한국 체육은 지난 2016년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을 한데 아우르는 통합을 단행했다. 엘리트체육을 집중 육성하는 낡은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통합의 새로운 체육생태계를 구축하는 시도는 험난했다. 마음이 급했던 탓인지 정부 주도의 일방적 통합 움직임은 엘리트체육의 강력한 반발과 저항으로 이어졌고 숱한 상처를 남긴 채 껄끄럽게 봉합됐다.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이 함께 어우러지는 새로운 체육생태계 구축은 부인하기 힘든 시대적 과제였다. 그로부터 2년이 지났다. 통합 체육회를 이끌고 있는 ‘이기흥호’는 지형이 변모한 체육계를 제대로 이끌고 있는지, 또 체육단체 통합의 중간 성적표는 과연 어떤지 냉정하게 살펴보는 게 필요할 듯 싶다. 대나무가 하늘을 찌르듯 높이 자라는 이유는 과정과 단계마다 꼭 매듭을 짓기 때문이다. 지난 2년 간의 체육단체 통합에 대한 중간 평가가 필요한 것도 바로 더 나은 한국 체육의 미래와 비전을 설계하기 위해서다.

지난 2년 동안 한국 체육은 과연 어떻게 변했을까? 통합이라는 겉옷을 입은 한국 체육은 겉으로는 그럴싸하게 보였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 형식과 내용의 불일치가 도드라졌고 파열음만 토해냈다. 아직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이 통합의 가치를 공유하지 못하고 물과 기름처럼 겉돌고 있다는 게 냉정한 분석이다. 시대정신이나 통합의 진정한 가치를 공유하지 못한 채 무리하게 추진한 관주도형 통합이 야기한 폐해가 아닐 수 없다. 통합의 중간 평가는 아무리 후하게 줘도 성적표로 치자면 평균점 이하다.

두 단체의 통합이 물리적 통합이 아니라 시너지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 화학적 결합으로 이어지지 못한 결정적 이유는 아직도 통합체육회가 엘리트체육에만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합 체육회가 출범하고 새로운 수장으로 뽑힌 이기흥 회장은 엘리트체육에 경도된 리더십을 고수했다. 엘리트체육 중심의 집행부 구성이 대표적이다. 생활체육은 오로지 구색맞추기로 활용하면서 통합체육회가 추구해야 하는 균형과 조화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우를 범했다.

편향된 리더십으로 화학적 결합을 이뤄내지 못한 게 기존 엘리트체육이 범한 잘못이라면 생활체육 쪽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통합의 화학적 결합을 이야기할 때 오히려 그 책임이 더욱 클 수도 있다. 생활체육 쪽이 기존의 체육계를 좌지우지했던 엘리트체육의 마피아들과 결탁해 물을 더 흐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기존 체육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 그럴 수 있다고 자위해봤지만 2년이란 시간은 그리 짧지는 않다. 일부 생활체육 인사들은 오히려 구태를 찜쪄먹는 부정 부패를 일삼으며 체육을 후퇴시키고 있어 안타깝기 그지없다. 생활체육이 체육개혁을 위한 깨끗한 마중물이 아니라 새로운 분란을 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머릿속 생각은 훌륭했다. 그러나 현실은 거꾸로 가고 있다.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을 한데 아우르는 선순환 체육생태계는 과연 언제쯤 만들어질 수 있을까? 드러난 문제점을 제대로 진단하고 현장을 반영하는 처방을 내놓지 못하면 2년 전 통합은 또다른 이별의 전주곡이 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정말 큰 불행이다.

부국장 jhkoh@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