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역시, 강원 강릉시 등 5개 지자체, 국가 글로벌 관광거점도시 공모사업 선정· 정부 국정 최우선 과제 추진 관광거점도시 육성 공모사업 선정, 각 지자체별 총사업비 국비 포함 최대 1천억원 규모 지원 예정· 부산은 국제관광도시, 강릉·전주·목포·안동은 지역관광거점도시…경기·충청권은 탈락
관광거점도시 선정 결과 발표하는 박양우 문체부 장관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방한 도시관광 선도 모델 육성을 위한 관광거점도시 선정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제공=문화체육관광부)

[강릉=스포츠서울 전인수 기자]

지역 관광 혁신을 위한 관광거점도시 사업 대상지로 부산과 강릉·전주·목포·안동 등 5개 도시가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거점도시 육성 사업 대상지 가운데 국제관광도시로 부산광역시 1곳을, 지역관광거점도시로 강원 강릉시, 전북 전주시, 전남 목포시, 경북 안동시 등 4곳을 선정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관광거점도시 육성 사업은 외국인 관광객이 서울에 집중되는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에 새로운 관광거점을 육성하고자 추진되는 사업이다.

국제관광도시는 6개 광역시 중, 지역관광거점도시는 8개 광역도가 추천한 기초지자체 중에서 선정됐다.

광역시 단위인 국제관광도시 선정 과정에선 부산과 인천이 마지막까지 치열한 경합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체부 관계자는 “부산이 거점도시로서 가진 인프라와 주변 지역과의 협업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며 “새로운 시설을 짓는 것보다는 기존 관광 자원을 어떻게 잘 활용할 것인지가 주된 평가 기준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지역관광거점도시 중 경기권과 충청권은 최종 선정지에 포함되지 않았다.

경기권의 경우 포천·남양주·가평 3개 도시가 지원했으나 서류 심사에서 모두 탈락했으며, 충청권에서는 충남 보령시와 충북 청주시가 최종 후보까지 올랐다가 고배를 마셨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지는 올해부터 2024년까지 방한 관광시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받는다.

문체부는 우선 올해 국제관광도시에 43억원, 지역관광거점도시에 각 21억5천만원(총 86억원), 홍보 및 컨설팅에 30억원 등 국비 159억원을 투입한다.

향후 지원되는 구체적인 예산 규모와 세부 사업 내용은 도시별 계획을 바탕으로 확정하되, 도시별로 5년간 최대 500억원까지 지원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광거점도시선정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 인포그래픽. (제공=문화체육관광부)

사업 첫해인 올해는 외국인 관광객 수요를 반영해 도시 관광 전반에 대한 기본계획을 세우고, 도시 관광환경과 안내 체계를 정비하는 등 필수적인 사업부터 추진한다.

관광객 입출국 시 환승 편의 제고, 스마트 안내 체계 및 관광지 순환 교통체계 등을 구축해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숙박시설을 확충하고 면세점 즉시 환급과 같은 쇼핑 편의도 제공할 방침이다.

문체부는 이번 선정을 위해 관광·건축디자인·도시계획·교통·스마트 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민간 전문가로 위원회를 구성, 지원 도시들의 발전 잠재력과 관광 기반의 우수성 등을 평가했다.

부산광역시는 다양한 축제와 역사·문화를 활용한 사업 내용이 우수하고 정책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아 국제관광도시로 선정됐다.

특히 관광 기반시설이 가장 우수하고 해양을 끼고 있는 지리적 이점을 잘 살려 향후 남부권의 국제 관문 도시로 부상할 수 있다고 평가됐다.

강원 강릉시는 평창 동계올림픽 유산을 비롯해 전통문화·자연환경 등 보유 자원을 바탕으로 지방 공항과의 연계, 강원 지역 내 연계 체계 등을 구축해 동해안권 관광거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옥마을 등 전통문화 브랜드를 갖춘 전북 전주시는 전북 내 지방자치단체 간 업무협약을 통해 협력 관광상품을 계획하는 등 지역관광거점으로서의 역할을 높게 평가받았다.

근대역사문화, 음식문화 콘텐츠, 섬 등 지역 특화 자원 상 잠재력이 있는 전남 목포시는 관광거점도시 육성 사업과 원도심 재생을 연계해 사업성을 높였다.

유교 문화자원을 활용한 사업 비전을 제시한 경북 안동시는 경북권 인근 지자체와 협업 체계를 구축해 내륙관광거점으로의 발전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문체부는 다음 달 선정된 5개 지자체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동 연수를 실시하고, 새로운 관광 콘텐츠 개발 및 지역·중앙 간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박양우 문체부 장관은 “관광거점도시들이 세계적인 관광지로 성장하고 방한 관광시장의 성장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예산뿐만 아니라 사업 전반에 걸친 자문, 홍보 등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릉경포020해맞아
2020년 1월 1일 강릉 경포해변에서 열린 해맞이 행사 모습. (제공=강릉시청)

지역관광거점도시로 선정된 강릉시는 정부가 국정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는 관광거점 도시 육성 공모사업 선정돼 1천억원 규모의 총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 강릉시는 이에따라 국제관광 수용 능력을 획기적으로 끌어 올리기 위해 체계적인 관광인프라 확충, 다양한 콘텐츠 개발, 안내기능 등의 사업을 통한 글로벌 관광거점도시로 도약할 기회를 갖게됐다.

이를위해 환경개선, 안내기능 강화, 관광콘텐츠 다양화 등 매력적인 관광 특화 도시 조성하고 주민 주도적 참여를 통한 지역 DMO(Destination Marketing Organization : 목적지 마케팅 기구/지역관광추진조직)와 주민사업체의 성장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또 철도·양양공항(플라이강원)·동해항 등 교통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동북권 관광의 글로벌화를 위한 허브 기능도 강화된다.

강릉시는 ‘Beautiful city, 강릉’을 브랜드로 제시하기로 했다. Beautiful의 브랜드는 내국인에게 평범하나, 외국인 관광객의 시각에서는 바다·호수 등 생태환경·전통문화유산·생활 문화유산 등 두루 갖춰 최근 목적 관광지 인식이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강릉시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기억하고 싶은 한국 대표의 아름다운 도시 ‘Korean Beautiful City’로 이미지 강화해 향후 글로벌 관광거점도시 강릉에 걸맞은 브랜드 개발을 별도로 추진할 계획이다.

강릉시는 28일 기자회견을 통해 Beautiful City 강릉을 만들고, 외국인 관광객 관광 활동의 스펙트럼을 넓히기 위한 전체 사업 구상안을 내놓았다.

중점 대상지를 기존 경포권과 올림픽파크, 초당마을을 포함한 뉴 경포지역으로 하고, 경포·안목 해변지구, 오죽헌 지구, 올드타운(명주동)지구로 구분, 관광거점의 핵심적인 역할을 부여한다는 것. 주요 사업은 핵심사업 26건, 전략사업 22건, 연계사업 17건 등 환경개선과 프로그램 및 콘텐츠 위주의 총 65개 사업으로 향후 강릉시 관광의 5년 계획사업을 종합해 구성했다.

핵심사업 대상지인 ‘뉴 경포지구’의 경우 경포의 5개의 달을 형상화한 ‘경포의 달, 세계를 비추다!’를 주제로 추진하고, 올림픽파크는 올림픽레거시를 활용 대한민국 4계절 겨울관광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랜드마크 조성, 전통 뱃놀이 조성, 관광트램 설치, 생태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올림픽 파크를 활용해 빙상 스포츠체험 및 아이스쇼, DJ스케이팅 공연 등 겨울관광은 물론, 강릉 아트센터, 강릉아레나를 활용한 문화공간도 조성하기로 했다.

‘경포안목해변’ 지구는 경우 바다·해변과 커피를 활용한 세계적인 힐링 휴양지 조성된다. 해변솔밭공원 조성, 밤해변 산책길 야간환경 개선 등으로 통해 힐링문화 관광이 추진된다.

‘오죽헌’ 지구는 오죽헌과 한옥마을, 선교장 등 다양한 주변 인프라를 활용한 체험 클러스터를 조성해 전통문화 관광 및 체험공간으로 조성하길 했다.

명주동 일원의 ‘생활문화유산’ 지구는 중앙시장 및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활용한 도심체험 관광, 명주동 및 대도호부관아 야간관광 활성화 등 문화도시 및 도시재생뉴딜 사업과 연계한 일상의 생활문화관광을 추진하게 된다.

‘비공간’ 사업으로는 교통 및 관광 안내기능 강화로 관광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안내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종합관광안내 플랫폼을 조성하고 강릉발 광역교통정보 안내서비스 및 스마트관광 안내 등이 이뤄지고 관광교통서비스도 개선할 계획이다.

김한근 강릉시장은 “강릉시와 강릉관광개발공사, 강릉형DMO(외국인 인바운드 협의체)가 협력하는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강릉형 DMO를 중심으로 민간주도 역량 강화 및 평가위원회 구성 지속 관리 등 지역관광산업과 동반성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인수기자 visionis7@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