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블럼_도쿄올림픽
출처 | 도쿄올림픽 홈페이지

[스포츠서울 김용일기자] 2020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가 대회를 방문하는 각국 선수와 관계자, 미디어, 자원봉사자 등 28만여 명에 대한 대규모 유전자 증폭(PCR) 검사 시행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23일 ‘스포츠호치’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스포츠호치’에 따르면 일본 정부와 도쿄올림픽조직위는 1년 미뤄진 올림픽 개최에 최대 걸림돌인 코로나19와 관련해 올가을부터 효력 있는 대응 지침을 그리고 있다. 사실상 내년 상반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종식이 불가능해진 만큼 참가국 협조를 통해 감염 위험을 최대한 제거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게 주된 내용이다. 그중 가장 눈길을 끄는 건 대규모 PCR 검사다. ‘스포츠호치’는 ‘조직위 복수 관계자는 정부, 도쿄도와 연계를 통해 대규모 PCR 검사 시뮬레이션을 물밑에서 조율 중’이라며 ‘현재 (검사 대상자는) 28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는 대회 운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인원’이라고 했다. 선수 규모만 1만1000여 명으로 확인됐으며 자원봉사자는 12만여 명으로 가장 비율이 높다.

물론 모든 검사를 일본에서 시행하는 건 아니다. 조직위 한 관계자는 “(워낙 대규모여서) 해외 선수와 지도자 등은 현지에서 PCR 검사를 마치고, 음성 판정 확인서를 들고 입국하는 게 현실적”이라며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공조 체제를 통해 방문 국가 팀은 자국에서 검사를 받는 것을 의무화하도록 하겠다는 의지다. 조직위는 정부, 도쿄도와 3자 회의체를 구성하고 올가을부터 대규모 PCR 검사를 포함, 구체적으로 코로나19 대책 논의를 하기로 했다. 각국 정부와 올림픽위원회(NOC), 국제경기단체(IF)와 협조도 불가피하다. IF 관계자는 “각국 선수단이 PCR 검사를 받고 일본으로 이동, 베이스캠프로 이동하기 전 2주간 격리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라며 “선수촌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 손쓸 방법이 없다”고 강조했다. 선수촌 내에서 평시 PCR 검사와 더불어 외출 금지 방안까지 거론되고 있다.

외부 요인은 올림픽을 찾는 방문객이다. 조직위는 780만 명으로 예상하는데, 일본 내에서는 안전 최우선으로 무관중 개최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토마스 바흐 위원장을 중심으로 IOC 내에서는 무관중 개최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아직 별다른 반응이 없다.

kyi0486@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