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로봇추진단 설립…시너지협의체 구성 ‘Win-Win 성장’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해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을 가속화한다. 사진 | 연합뉴스

[스포츠서울 | 표권향 기자] 삼성전자가 레인부오루보틱스의 최대 주주로서 휴머노이드(인간의 신체와 유사한 모습을 갖춘 로봇) 등 미래로봇 개발을 가속화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카이스트 휴보 랩(Lab)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로봇 전문기업이다.

지난해 868억 원을 투자해 14.7%의 지분을 가진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보유 중인 콜옵션을 행사했다. 이로써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0%로 늘려 2대 주주에서 최대 주주가 됐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먼저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힌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창업 멤버이자 카이스트 명예교수인 오준호 교수가 삼성전자 고문 겸 미래로봇추진단장을 맡는다. 삼성전자의 AI·소프트웨어 기술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개발 리더십 강화를 위한 양사 간 시너지협의체도 운영한다. 예컨대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양팔로봇·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방침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됨에 따라 미래로봇 개발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결국 두 회사의 Win-Win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gioia@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