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겨울철 산불로 인한 평균 피해 금액 236억7천2백만원.

정 의원 “겨울철 산불 위험 증가... 관계당국의 선제적 조치 필요”.

국민의힘 정희용 국회의원. 사진 | 정희용 의원실

[스포츠서울 | 이상배 전문기자]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겨울철(12, 1, 2월) 산불 발생 평균 건수가 1980년대 43건, 1990년대 88건, 2000년대 128건, 2010년대 103건, 2020년대(2020~2024년)는 154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1980년대 대비 약 3.6배 증가한 수치다.

동 기간 산불 발생 평균 일수는 1980년대 23일, 1990년대 35일, 2000년대 47일, 2010년대 44일, 2020년대(2020~2024년) 58일로 1980년대 대비 약 2.5배 증가했다.

아울러, 건조특보 발효 평균 일수도 1990년대 36일에서 2000년대 48일, 2010년대 64일, 2020년대 66일로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겨울철 건조특보는 전국적으로 평균 66일간 발효되었으며, 산림의 상대습도가 낮거나 건조 일수가 많으면 산불 발생 건수가 증가한다고 밝혔다.

더욱이, 최근 5년간(2020~2024년) 겨울철(12, 1, 2월) 산불로 인한 평균 피해 면적은 501.32ha로 축구장 702개 수준을 보였으며, 1980년대(94.37ha) 대비하여 약 5.3배나 넓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평균 피해 금액 역시 1980년대 26억5천8백만원에서 2020년대 236억7천2백만원으로 약 9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30년(1995~2024년)간 전국 평균 기상 가뭄이 100일 이상 나타난 햇수가 1995~2004년에는 2회, 2005~2014년 3회, 2015~2024년은 4회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 의원은 “최근 LA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은 기후변화와 건조한 날씨가 산불 위험을 얼마나 증폭시킬 수 있는지 보여줬다”라며, “우리나라도 겨울철 건조한 날씨로 인해 산불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정 의원은 “주무 기관인 산림청을 비롯한 관계 당국은 강풍·건조 특보 시 지자체가 산불을 대비할 수 있도록 공문 등을 통해 선제적 조치를 강화해주기를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sangbae0302@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