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는 팀 타율 1할대에 머물고 있다. 변화가 필요하다. 잠실 | 최승섭기자 thunder@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 박연준 기자] “이렇게 방망이가 안 맞는 시즌은 처음이다.”

한화 김경문(67) 감독의 고심이 깊어진다. 명장도 답을 찾지 못하는 타격 침체다. 리그 최하위다. 그보다 더 뼈아픈 건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올시즌 한화의 타선은 말 그대로 ‘먹먹’하다. 1할대 팀 타율. 리그 10개 구단 중 꼴찌다. 팀 출루율, 장타율도 모두 최하위다. 팀 타자 전체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기여도)도 리그에서 유일한 마이너스 수치에 머물고 있다.

3번에서 5번까지 중심 타선이 매 경기 바뀐다. 고정된 축이 없다. 노시환, 채은성, 김태연, 문현빈이 번갈아 배치된다. 김경문 감독은 연일 조합을 바꾼다. 끊임없이 활로를 모색하는 중이다.

한화 안치홍은 시즌 타율 0.067로 극심한 부진에 빠져있다. 결국 지난 7일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됐다. 잠실 | 최승섭기자 thunder@sportsseoul.com

급기야 김 감독은 1군 엔트리에 칼을 댔다. 부진한 안치홍(타율 0.067)과 임종찬(타율 0.136)을 퓨처스로 내려보냈다. 그 자리에 하주석, 이상규, 이상혁을 등록했다. 확실한 해결책은 아니다. 고육지책에 가깝다.

김 감독의 언어도 점점 단호해지고 있다. “노력해야 한다. 말은 필요 없다. 이겨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냉정하게 보면 ‘이겨내야 한다’는 말 외엔 달리 내세울 수 있는 메시지도, 카드도 없다. 지금 한화의 현실이다.

한화가 반등에 성공 할 수 있을까. 타선이 깨어나야 한다. 잠실 | 최승섭기자 thunder@sportsseoul.com

올시즌을 앞두고 한화는 신 구장인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새 출발을 다짐했다. 시즌 전 김 감독은 “이제 우리가 야구만 잘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개막 한 달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한화는 리그 최하위에 머물러 있다. 스스로 약속한 ‘야구만 잘하면 된다’는 말이 가장 무겁게 돌아온다.

팀 분위기도 가라앉았다. 점수를 내지 못한다. 뻔히 아웃카운트를 주는 공격, 침묵하는 방망이. 이 흐름을 바꾸지 않으면, 연패는 반복된다. 명장의 손끝도 버거운 지금, 한화 타선은 응답할 수 있을까. duswns0628@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