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최규리 기자] 정용진 신세계 회장이 내실 다지기에 집중한다. 부진한 계열사부터 손보기 시작해 신속하게 성과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고강도 구조조정, 사업 재편 체질 개선을 시작으로 정 회장의 성과주의 ‘신세계’가 시작됐다.

우선 지난달 29일 신세계건설 최대 주주인 이마트가 보유 지분, 자사주를 제외한 신세계건설 잔여 지분 전량에 대한 공개매수와 자발적 상장폐지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마트는 이달 29일까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인 신세계건설 기명식 보통주식 212만661주(발생주식총수의 27.33%)의 공개매수를 진행한다. 이마트가 가진 보통주 546만8461주(70.46%)와 신세계건설 자사주 17만1432주(2.21%)를 제외한 나머지 주식을 모두 사들이겠다는 것이다.

코스피 상장사가 자발적 상장 폐지를 하려면 자사주를 제외하고 대주주가 95% 이상의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 공개매수 가격은 27일 종가(1만6050원)보다 14% 높은 주당 1만8300원이며, 총매수대금은 388억809만6300원이다.

그간 신세계건설은 이마트 실적 악화의 최대 요인으로 꼽혔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대규모 영업손실을 냈으며, 신용등급평가가 강등되는 등 유동성 위기 우려가 지속된 바 있다. 이에 정 회장은 과감한 꼬리 자르기로 경영정상화에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다.

정 회장의 다음 타깃은 G마켓이었다. 신세계 계열사의 아픈 손가락으로 꼽혔던 이커머스 사업인 SSG닷컴에 이어 G마켓도 인력 효율화 작업에 들어갔다.

지난달 27일 G마켓은 희망퇴직을 공지했다. G마켓이 2021년 신세계그룹 계열로 편입된 이래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영성과가 저조한 계열사는 체질 개선으로 비용 절감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정 회장은 내실 경영에 방점을 두면서도, 신세계의 본업인 오프라인 유통도 강화로 외형 성장도 챙겼다. 지난해 11월 지난해 대대적인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정용진 표 ‘신세계’를 만들겠다는 정 회장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다.

실제 이마트에 스타필드 DNA를 입힌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의 고객 수와 체류 시간, 매출 등이 모두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마트 죽전점도 정 회장이 추구하는 오프라인 유통 방향이 그대로 반영된 곳이다.

이런 정용진식 전략이 통하면서 신세계의 하반기 기대감도 증폭되고 있다. 실제 그 결과 지난 2분기 영업손실 폭을 줄이고,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마트 2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3% 줄어든 7조560억원, 영업손실은 34.7% 개선된 346억원이다.

일각에서는 지난 3월 정 회장이 비상 경영 체제를 선포하면서, 신세계그룹 새판 짜기에 나섰다고 본다. 이 과정에서 정 회장은 즐겨하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골프를 끊고 경영에 매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 회장은 대대적인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경영진에게 강도 높은 쇄신을 주문한 바 있다.

유통업계 전문가는 “정용진 회장이 경영자로서 책임을 보여주고, 급변하는 유통 환경 속에서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gyuri@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