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표 하트 2025. 2. 20. upandup@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 17’이 개봉 4일 만에 1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그러나 이 속도는 같은 감독의 전작인 ‘기생충’에 비해선 다소 느린 편이다. ‘기생충’은 개봉 5일 만에 200만 명을 돌파하며 역대급 흥행 기록을 세운 바 있다. 이에 ‘미키 17’이 과연 장기 흥행을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트 만드는 봉준호 감독과 로버트 패틴슨 2025.1.20 연합뉴스

■‘기생충’ vs ‘미키 17’…흥행 속도 비교

‘기생충’은 개봉 첫날에만 약 5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고, 5일 만에 200만 명을 돌파하며 300만 관객을 가뿐히 넘었다. 반면 ‘미키 17’은 개봉 첫날 24만 8천 명을 기록, 4일 만에 100만 명을 돌파했다. 이 같은 비교는 ‘미키 17’이 아직까지는 ‘기생충’의 흥행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일만의 100만 관객은 대단한 수치지만, 기생충에 비해 흥행이 느린 이유는 우선 SF 장르의 벽이다.

‘기생충’은 블랙코미디와 스릴러를 절묘하게 섞어 계층 문제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룬 덕분에 폭넓은 관객층을 사로잡았다. 반면, ‘미키 17’은 복제인간과 정체성이라는 심오한 주제를 바탕으로 한 SF 장르다. SF 특유의 복잡한 설정과 철학적 메시지가 대중에게 다소 어렵게 느껴진 것으로 보인다.

137분이라는 다소 긴 러닝타임도 주말 관객 몰이에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3월초 할리우드 블록버스트가 대거 개봉을 앞두고 있어, ‘미키17’과의 관객분산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기생충’은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의 여세를 몰아 비교적 경쟁작이 적었던 상황에서 관객 몰이에 성공했다.

배우 나오미 아키에(왼쪽부터), 마크 러팔로, 스티브 연이 20일 서울 강남구 코에그 메가박스에서 진행된 영화 ‘미키 17’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을 향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2025. 2. 20. upandup@sportsseoul.com

■보편적 감성과 장기흥행에 달렸다

비록 초반 흥행 속도는 ‘기생충’보다 느리지만, ‘미키 17’의 흥행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 명작, 소장각이라는 극찬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주인공 로버트 패틴슨의 폭발적인 연기력과 봉준호 감독 특유의 유머와 사회적 메시지가 강력한 흡입력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복제와 정체성이라는 주제가 지속적인 논쟁거리와 해석의 여지를 제공하고 있어, 영화 해석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하다. 이러한 입소문과 재관람이 이어진다면 장기 흥행의 가능성도 충분하다.

‘기생충’이 사회적 메시지와 가족 드라마를 조합해 전 연령층의 지지를 받았던 것처럼, ‘미키 17’ 역시 정체성의 혼란이라는 보편적인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면 장르의 한계를 넘어 관객의 발걸음을 이끌어 낼수 있다.

현재 ‘미키 17’의 속도로는 500만 관객 돌파가 장기 흥행의 첫 번째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속도가 유지된다면 ‘설국열차’의 935만 명을 넘기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다만, 3월 개봉 예정인 강력한 경쟁작들과의 대결에서 얼마나 선전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kenny@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