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동시다발 발생 국가위기경보 ‘심각’ 격상 따른 호소문 발표

[스포츠서울|조광태기자]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25일 봄철 산불 예방 대도민 호소문을 발표했다.
김지사는, 봄철은 건조한 날씨 속에 산불피해가 큰 시기인 만큼 화재 예방이 어느때보다 더욱 중요 시기라면서, 푸른 전남을 지키고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영농폐기물·논밭두렁 태우기 금지 등 산불예방 수칙을 지켜줄 것을 도민에게 간곡히 호소했다.
이는 최근 전국적으로 동시다발 대형산불이 발생하고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지난 22일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된데 따른 것이다.
김영록 지사는 이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발표한 호소문을 통해 ▲산림 또는 산림 인접지에서 논·밭두렁이나 각종 쓰레기 소각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흡연이나 인화물질 소지 ▲입산통제 구역이나 폐쇄된 등산로에 출입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 산에서 연기나 불을 발견하면 119, 112, 관할 산림부서에 신속히 신고하고, 산불과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산행 중 산불이 발생하면 골짜기를 피해 바람 반대 방향으로 즉시 하산할 것을 당부했다.
올 들어 전남에선 24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대부분 불법 소각, 성묘객 실화 등 사소한 부주의가 원인이다. 소중한 재산과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선 봄철 산불예방을 위한 도민 협조가 필요하다.
전남도는 봄철을 맞아 지역 축제와 행사에 많은 방문객이 찾고, 한식과 청명절을 맞아 입산과 성묘객이 늘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군과 합동으로 주말 기동단속반을 운영하는 등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또한 산불 감시 사각지역을 줄이고 야간 산불 초동진화를 위해 ‘전남산애(山愛)감시원’ 696명과 야간 ‘신속대응반’ 28개 조, 179명을 편성해 밤 10시까지 산불 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산림인접지역 영농부산물 파쇄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산불 진화헬기 13대, 진화인력 1천180명, 진화장비 5만 4천 점, 드론 38대, 감시영상시스템 운영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하고, 소방·경찰・군인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해 만일의 사태에 철저히 대비할 계획이다.
김영록 지사는 “작은 관심 하나가 푸른 전남의 산림을 지키고,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첫걸음이다.
산불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께 노력하자”며 “전남도는 산림 인접지 외딴곳까지 드론 등을 활용한 감시체계를 철저히 운영하는 등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김영록 지사 대 도민 호소문]
“푸른 전남 지키는 산불예방에 모두 동참해 주십시오”
봄철 산불예방 대도민 호소문
존경하는 도민 여러분!
지난 주말, 전국 곳곳에서 수십 건의 산불이 동시에 발생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경남 산청 등 전국 산불 현장에서는 안타깝게도 네 분이 희생되시고, 열한 분이 중경상을 입었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부상자의 빠른 쾌유도 간절히 기원합니다.
이번 산불로 전국에서 1만4천6백㏊, 축구장 2만여 개에 달하는 숲이 사라졌습니다.
우리 도에서도 지난 2년 전 두 건(순천, 함평)의 대형산불로 약 870㏊의 숲을 잃은 아픔이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닌, 우리의 생태계와 미래 세대의 삶터가 함께 사라진 것을 의미합니다.
사랑하는 도민 여러분,
정부는 지난 3월 22일 자로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였습니다.
전국적 총력 대응에 나선 것으로 그만큼 현 상황이 심각하다는 뜻입니다.
우리 도에서도 지난 1월 24일부터 봄철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산불 진화헬기 13대와 전문진화인력 1,180명, 그리고 진화장비 5만 4천 점을 갖추고소방・경찰・군인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최첨단 산불감지용 CCTV와 696명의 전남 산애(山愛) 감시원이 경계를 하고, 야간산불 신속대응반 179명이 대기 중입니다.
농업기술센터와 산림부서에서는 산림인접지역에 영농부산물 파쇄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준비보다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관심과 실천입니다.푸른 전남을 지키기 위한 다음 수칙을 꼭 지켜주시기바랍니다.
첫째, 산림 또는 산림 인접지에서 논・밭두렁이나 영농부산물 같은 각종 쓰레기를 절대 태우지마십시오.
둘째,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불씨를 다루지 마십시오.잘 꺼진 담배꽁초도 바람에 다시 살아날 수 있습니다.
셋째, 입산통제구역이나 폐쇄된 등산로는 출입하지마십시오.입산 가능 구역이더라도 라이터나 버너 같은인화물질을 소지하지 마십시오.
넷째, 산행 도중 산불이 발생했을 때는 골짜기를 피해 바람 반대 방향으로 즉시 하산하십시오.
다섯째, 산에서 연기나 불을 발견하면 즉시 119나 112에 신고하고,논・밭 공터 같은 안전한 곳으로 신속히대피하십시오.
마지막으로 한식과 청명절을 맞아 입산과 성묘 시에는 절대로 화기를 소지하지 마시고, 봄철 축제기간에도 각별히 주의해 주십시오.
산불을 일으키면 실수라도 법에 따라 벌금이나 징역형 같은 강력한 처벌을 받게 됩니다.이 점을 명심해 주십시오.
존경하는 도민 여러분!
대부분의 산불은 우리의 작은 부주의에서 시작합니다.
경남 산청은 성묘객의 실화, 경북 의성은 예초기에서 튄 불꽃이 그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지난 5년간 산불의 40%가 입산자 실화, 26%가 논・밭두렁과 쓰레기 소각에서 발생했습니다.모두 예방가능한 일들이었습니다.
우리의 작은 관심 하나가 푸른 전남의 산림을 지키고,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첫걸음입니다.산불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께 노력해 나갑시다.
전라남도는 언제나 도민 여러분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3월 25일
전라남도지사 김 영 록
chogt@sportsseoul.com
기사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