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파란’. 사진 | 메리크리스마스

[스포츠서울 | 박경호 기자] 저마다 아픈 상처가 있다. 그 상처가 때로는 흉이 되기도 한다. 그래도 누군가 아픔을 알아준다면 작은 위안을 받고 인생을 살아갈 힘을 얻는다. 상처가 될 수밖에 있는 두 사람이 서로를 보듬는 버디 무비 ‘파란’이 9일 개봉한다.

영화 ‘파란’은 뒤바뀐 가해자의 아들과 피해자의 딸, 가족의 죄로 죽지 못해 살던 두 사람이 진심으로 살고 싶어진 뜻밖의 동행을 그린 감성 미스터리물이다.

연출을 맡은 강동인 감독은 호흡이 가장 중요한 클레이 사격에 폐섬유증 환자를 매칭시켰다. 강 감독은 “스포츠는 호흡이 중요하다. 역설적으로 숨을 참아야만 집중할 수 있고 높은 점수를 낼 수 있는 포인트에 매력을 느꼈다”라고 설명했다. 심리적 긴장감과 범죄자 주변 인물들이 겪을 수 있는 죄책감, 고통에 대한 색다른 접근을 감각적인 연출로 그려냈다.

영화 ‘파란’. 사진 | 메리크리스마스

클레이 사격이 소재다. 한국에서 한 번도 시도되지 않은 스포츠를 영화로 소개한 건 이 영화가 가진 신선한 지점이다.

국가대표 클레이 사격 선수 태화(이수혁 분)는 폐섬유증에 걸렸다. 수술 중 사망한 아버지의 폐를 이식받았다. 건강은 회복했지만 삶은 여전히 팍팍하다. 감당하기 힘든 죄책감과 트라우마로 가득하다. 죽은 아버지가 뺑소니 사망 사고를 낸 가해자이기 때문이다. 팀 동료들의 비난을 감당해야 한다. 억울한 누명까지 쓰며 연좌제에 시달린다.

삶이 무너졌다. 이혼까지 앞둔 상태에서 결혼 예물을 팔기 위해 금은방을 찾는다. 이곳에서 우연히 뺑소니 사망 사고 피해자의 딸 미지(하윤경 분)를 만난다. 얼굴에 그늘이 드리워진 미지의 삶도 온전하지 않다. 학창 시절부터 아버지로부터 몸과 마음에 상처를 입고 어머니에게도 버림받았다.

영화 ‘파란’. 사진 | 메리크리스마스

태화는 그런 미지에게 불쑥 다가가 도움을 준다. 미지는 태화에게 이유를 묻는다. 아버지의 죽음과 연관된 사실을 알게 된 미지는 자신을 버린 어머니를 찾기 위해 태화에게 도움을 청한다. 태화는 미지에게 마음의 빚을 갚기 위해 나서며 두 사람의 동행이 시작된다.

영화는 뺑소니 가해자의 아들과 피해자 딸이라는 정반대에 놓인 두 사람이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며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작품이다.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은 어느샌가 서로를 걱정하고 아픔을 공감한다. 그리고 마침내 숨겨진 진실을 깨닫는다.

‘파란’은 4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한 이수혁과 19세 소녀로 변신한 하윤경이 출연한다. 신선함을 주기엔 성공적인 조합이다. 그러나 두 주인공의 첫 만남 과정에서 접점이나 개연성 없이 우연에 기댄 부분이나 태화와 미지가 뺑소니 사건의 진실을 알게 되는 과정, 경찰에 쫓기는 과정 등 이야기가 전반적으로 매끄럽지 않다.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나, 완성도에서 못 미치는 점이 유독 아쉽다. park5544@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