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전한길뉴스

[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민간인 신분으로 전환된 가운데, 한국사 강사이자 보수 유튜버로 활동 중인 전한길 씨와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만나 정국 현안에 대한 입장을 공유한 사실이 알려졌다.

전 씨는 지난 9일 직접 운영 중인 유튜브 채널 ‘전한길 뉴스’를 통해 윤 전 대통령과의 관저 회동 사실을 자진 공개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님께서 이사를 앞두시고 감사의 뜻으로 불러주셨다”고 밝히며 관저 안에서 윤 전 대통령, 윤상현 의원과 함께 손을 맞잡은 사진도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은 “나야 감옥 가도, 죽어도 괜찮다. 하지만 국민과 청년 세대는 어떡하냐”며 파면 이후에도 정치적 메시지를 이어갔다. 전 씨는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해 개헌하고 헌재를 가루로 만들겠다”는 발언도 전하며, 윤 전 대통령과의 정치적 공조를 사실상 선언했다.

◇ 관저 정치 논란…‘무단 점거’에 따른 세금 낭비 지적도

윤 전 대통령의 현재 신분은 ‘민간인’이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로 지난 4일 오전 11시 22분부로 대통령직을 상실했음에도, 11일 퇴거 예정일까지 관저에 머무르며 ‘정치 회동’을 이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비판 여론을 자극한다.

출처 |전한길뉴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은 “파면당한 전 대통령이 왜 관저에서 요리사들과 식사를 하느냐”며 관저 운영비에 국가 세금이 투입됐는지 여부를 철저히 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관천 전 청와대 행정관 역시 “이 시점 이후 관저 운영에 국가 예산이 쓰였다면 이는 횡령”이라고 언급했다.

윤 전 대통령은 앞서도 나경원, 윤상현 등 국민의힘 인사들과 관저에서 비공개 만남을 갖는 등 일명 ‘관저 정치’를 펼치며, 퇴임 후 행보의 공적·사적 경계를 모호하게 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 전한길, 정치발언 후폭풍…“존경 잃고 방송 하차”

윤 전 대통령과의 회동으로 다시 주목받은 전한길 씨는 최근 정치 활동에 적극 나서며 논란의 중심에 선 인물이다. 한국사 수험 강사로 20년 넘게 활동하며 학생들 사이에서 ‘일타강사’로 불렸던 그는, 올해 초부터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참여, 부정선거론 주장 등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방송 출연이 중단되고, “제자들이 실망했다”며 팬카페 회원 수가 급감하는 등 그가 직접 밝힌 ‘사회적·경제적 손실’도 만만치 않았다. 그럼에도 전 씨는 “작년 수입 65억 중 절반 가까이를 세금으로 냈다”며 “그 모든 걸 감수하더라도 정치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그간 강의 수익을 기반으로 한 영향력 있는 인물이 정치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이 공교육 신뢰를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수험생 대상 플랫폼을 통해 정치적 발언을 이어가는 방식에 대해 “공적 영향력을 사적 정치활동에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가 제기된다.

kenny@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