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
정호원(보치아), 조기성(수영), 최일상(탁구), 장동신(아이스하키), 이도연(사이클), 신의현(바이애슬론) 스포츠서울DB/공동취재단

2022카타르 월드컵에서 우리나라 대표팀의 선전을 보며 무릎을 탁 쳤다. 그들은 16강에 진출한 뒤 중꺾마(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를 펼쳐보였다. 내 눈에 중꺽마는 ‘중간에 꺾이지 않는 마음’으로 읽혔다. 장애인 체육 발전에 필요한 내용이라 그렇다.

나름 오랜기간 스포츠를 취재했다. 주 분야는 야구. 데일리 스포츠인 프로야구를 취재하며 매일같이 틀에 박힌 일정을 소화했다. 야구와 같은 메이저 스포츠는 취재공식이 있다. 상보를 처리하고 스타를 담고 이슈를 팔로한다.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추적한다. 야구 취재는 흥미롭지만 매너리즘이란 함정이 있다.

장애인체육은 달랐다. 함께 가는 ‘2인 3각 경기’라고 하면 맞을까. 기사를 쓸 때마다 목표를 향해 미디어와 KPC, 선수가 함께 달리는 기분이 들었다. 함께 손발을 맞추며 그곳을 향해 나아가는 느낌이 강했다. 장애인 체육은 다른 분야와 차별성이 있었다. 거창하진 않아도 사명감이 움텄다.

그 핵심은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이다. 장애인 체육을 취재하면, 마음이 움직였다. “올림픽보다 패럴림픽 취재가 더 인상적”이라는 말은 맞았다. 장애인 선수들은 난관을 극복하며 감동을 선사했다. 사실 극복이라는 단어는 적절치 않다. 선수들은 각자의 상황에서 최선의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그런데 의아했다. 메이저 종목의 선수에 비해 조금은 위축된 분위기. 장애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압박이 존재했다. 어떤 선수는 자신이 노출되길 꺼렸다. 어떤 선수의 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드러나걸 싫어했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나아지고 있지만, 그 발걸음은 더디구나 싶었다.

함께 사는 세상이다. 단지 다를 뿐인데 여전히 다르게 본다.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한 이유다. 해결책은 이미 있다. 위더피프틴(#WeThe15)과 유니버설 디자인의 확산이다. 세상 사람의 15%는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나이들면 누구나 장애인이 된다. 회피하지 말고 직시해야 한 지점이다.

매년 12월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체육기자의 밤 행사가 열리는데, 올해 상을 받게 됐다. 대한장애인체육회(KPC)가 선정한 올해의 기자상 무대에 올랐다. 상을 받을거라 생각하지 못했는데, 심사결과 선정 됐다는 얘기를 듣고 부담스러웠다.

소식이 알려지자 여러 메시지가 왔다. ‘축하한다’는 메시지는 부담을 가중했다. 기억에 남은 메시지는 따로 있다. ‘의미있는 상이다. 올해의 체육상 보다~’라는 내용. 읽으면서 KPC 올해의 기자상이 가지는 남다른 의미를 느꼈다. 더 잘해야겠다는 다짐이 따라붙었다.

지난 여름, 휠체어를 타고 KPC 사무실이 있는 올림픽공원에서 혜화역까지 이동해봤다. 길가의 1cm 턱은 높은 벽이었고 지하철 승강장의 10cm 틈은 깊은 크레바스라는 걸 체감했다. 경험해 보니 알수 있었다. 장애인체육이 발전하기 위해선 ‘장애에 대한 인식변화와 공감지수가 높아져야 한다’고 절감했다.

한번에 인식 개선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축구대표팀이 증명한 ‘중꺾마’처럼 계속 전진한다면 조금씩 변할것이다. 나도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을 위해 더 기여하고 싶다. 이번 상이 내게 준 숙제라고 생각한다.

배우근의 롤리팝

kenny@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