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전기요금 인상…전기차 ‘애물단지’ 안되려면 혜택 찾아야

LG전자가 전기차 충전기 서비스 운영시간을 평일 주간시간 대에서 평일 야간과 주말까지 확대한다. 또한 상시 대응 서비스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사진 | LG전자

[스포츠서울 | 표권향 기자] 지난 2022년 7월 전기차 충전요금 할인 특례 제도가 끝났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등 에너지 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9.7% 올랐다. 연간 지수로 따지면 20% 오른 가격이다.

지난해부터 전기요금은 3번이나 인상됐다. 정부는 서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택·소상공인 전기요금 동결 기조를 이어가는 등 지원 대책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건 전기차 운전자도 마찬가지이다. 전기차는 내연차량보다 유지비가 저렴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매년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한 전기차 충전요금도 들썩인다는 것. 이에 따라 전기차 차주들은 차량 유지에 대한 불안이 점점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하소연하고 있다. 전기차의 인기가 떨어지고 있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그렇다면 전기차를 저렴한 비용으로 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전기차를 타면 탈수록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가 쌓이는 카드가 있다. 바로 ‘어디로든 그린카드’다. 이 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전기·수소차 등을 이용해 탄소중립 생활을 실천하자는 취지로 선보였는데,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

어디로든 그린카드는 친환경 교통과 소비생활 중심 혜택 강화를 위해 충전 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에코머니 포인트’를 적립해준다. 현재 NH농협은행·롯데카드·BC카드·경남은행·부산은행·IBK기업은행·대구은행 등에서 발급하고 있으며, 우체국과 제주은행은 올해 출시 예정이다.

포인트에 따라 적립 금액에 차이가 있다. 해당 카드로 전기·수소차를 충전하면 에코머니 포인트가 최대 40%까지 적립된다.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이면 충전 금액의 20%, 60만 원 이상일 경우에는 40%의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적립 한도는 월 2만 원이다.

에코머니 포인트에는 다양한 혜택도 마련됐다. 1포인트 이상은 BC TOP 포인트로 전환 가능하다. 1000포인트 이상부터 현금 전환되며, 5000포인트 이상은 롯데마트·이마트·홈플러스 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 1만 포인트 이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 또는 대중교통 이용 금액을 포인트로 대신 결제 가능하다.

이 밖에도 전기자전거, 전동 킥보드뿐만 아니라, 쏘카·트루카·카카오T바이크 등 공유 모빌리티와 대중교통·고속버스를 이용 시 10% 적립(적립 한도 월 5000원)돼 친환경 교통비 혜택과 함께 통합 월 4만 원까지 적립할 수 있다.

gioia@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