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파리=정다워 기자] 김우진(청주시청)도, 임시현(한체대)도 LA행을 장담할 수 없는 게 한국 양궁이다.

금메달 5개. 전 종목 석권으로 2024 파리올림픽을 마감한 한국 양궁은 벌써 4년 후 LA올림픽을 이야기한다. 3관왕, 우승의 기쁨을 만끽하기도 전에 다음 올림픽에서의 성과가 화두로 떠오른다.

김우진은 3관왕, 그리고 한국 올림픽 최다 금메달리스트가 된 직후에도 “나는 또 앞으로 나아가고 싶다. 은퇴 계획이 없다. 4년 후 LA 대회까지 열심히 하고 싶다. 오늘의 메달은 오늘까지만 즐기고 내일부터는 과거에 묻어두고 새로운 목표를 향해 나아가겠다”라며 다음 올림픽에서 메달을 추가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웠다. 여전히 현재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는 모습이다.

김우진보다 먼저 3관왕에 오른 임시현의 생각도 다르지 않았다. 그는 “다음 LA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열심히 해야 한다. 바늘구멍을 다시 통과해보겠다”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양궁 국가대표가 되는 것은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따는 것 이상으로 어렵다고 한다. 당장 3년 전 도쿄올림픽만 생각해도 알 수 있다. 당시 3관왕에 올랐던 여자부의 안산은 올해 태극 마크를 달지 못했다. 강채영, 장민희 등 단체전 금메달 멤버도 다르지 않다. 파리에 온 여자 선수 3명은 올림픽 경험이 아예 없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도 다음 대회를 기약할 수 없다는 뜻이다.

남녀 단체전, 혼성전, 개인전까지 싹쓸이 우승을 할 정도로 한국 양궁이 강한 배경이 여기에 있다. 이전의 성과나 커리어, 명성은 태극 마크를 다는 것과 무관하다. 오직 국가대표 선발전과 평가전을 통과한 선수만이 대표팀에 들어와 국제 대회에 출전할 수 있다.

2년 후에는 일본 아이치와 나고야에서 아시안게임이 열린다. 선수들의 바로 다음 목표는 아시안게임이 될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2년은 LA올림픽을 위해 뛰게 된다. 4년은 길다. 앞으로 이들이 어느 정도로 기량을 유지, 발전시킬지 알 수 없다. 혹은 제2의 전훈영, 남수현이 등장해 판을 뒤흔들지도 모른다.

왕좌에 오르는 것보다 지키는 게 어렵다. 평소 대한양궁협회 정의선 회장이 자주 하는 말이기도 하다. 정 회장도 대회를 마친 후 “이제 우리가 모여서 전략 회의를 하고 여러 가지 장단점을 분석해야 할 것 같다”라며 성과에 취하지 않고 다음 발걸음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긍정적인 것은 현재 대표팀 선수들이 젊다는 사실이다. 최선참 김우진이 1992년생으로 아직 30대 초반이다. 임시현(21), 남수현(19), 김제덕(20) 등은 아직 어리다. 4년 후에는 더 많이 경험하고 성장해 대표팀에 힘이 될 게 분명하다. LA에서도 한국 양궁은 화려하게 빛날 수 있다. weo@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