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권오철 기자] 천억원에 달하는 환매 중단 피해를 입은 디스커버리펀드 피해 투자자들의 원성이 문재인 대통령의 귓전에서 울려퍼졌다.
투자자들이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에서 발생한 디스커버리 사태에 대한 정부 차원의 해결을 요구한 것이다. 디스커버리 사태는은행이 중소기업을 상대로 위험도가 높은 금융상품을 안전한 것처럼 속여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제2의 키코(KIKO·외환파생상품)사태’로 불린다. 키코가 여전히 논란인 가운데 또 다시 대규모 피해 사건이 반복돼 문재인 정부가 직접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와 금융정의연대는 8일 오전 11시 청와대 앞 분수대 앞에서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 조사 촉구 및 해결방안 요구 청와대 진정서 제출’ 기자회견을 열고 “고의적으로 펀드의 위험성을 숨기고 판매를 강행한 기업은행을 규탄한다. 청와대와 금융당국은 사기피해를 조사하고 피해 대책을 마련하라”고 외쳤다.
기업은행은 2017년 4월 전국 각 지점 WM(자산관리)센터의 전문PB(자산운용사)를 통해 거래 기업들과 우수 고객들을 상대로 ‘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 ‘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 등 2종의 디스커버리펀드를 판매했다. 재간접 투자 방식의 디스커버리펀드는 투자금을 미국 자산운용사(DLI)를 통해 특수목적법인(DLG)에 투자했다. 그런데 DLI가 자산가치 부풀리기와 부당수수료 징수 혐의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피소되고 자산동결, 법정관리, 청산절차에 들어가면서 국내 투자자들은 914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기업은행의 사기판매 혐의다. 대책위는 “PB들의 진술에 의하면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펀드가 초고위험(1등급)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보수적인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이라고 교육했다. 이는 기업은행 본사가 적극적이고 조직적으로 고객을 기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업은행이 디스커버리펀드를 판매한 시점도 도마에 올랐다. 대책위 관계자는 “DLI의 CEO인 브렌든 로스는 2019년 2월 11일 DLI의 투자자산 중 한 대출채권에서 연체가 발생하자 DLI 펀드의 투자자에게 환매 유예조치를 공지했다. 디스커버리자산운용과 판매사인 기업은행은 최소한 그 시점에선 펀드 판매를 멈춰야 했지만 그해 2월 18일 기업은행 관계자들이 한 고객의 회사로 찾아와 수십억에 달하는 디스커버리펀드를 가입하게 했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의 디스커버리펀드 수사는 1년째 답보상태다. 지난해 4월 디스커버리펀드 환매가 중단되자 금융감독원은 같은 해 6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금감원은 1년이 되도록 그 검사결과를 발표하지 않으면서 관리·감독 부실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융정의연대 관계자는 “디스커버리사태는 제2의 키코사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키코사태는 2008년 다수의 기업들이 은행의 권유로 키코 상품에 가입한 뒤 환율급등으로 2조원대의 손실을 입은 사건이다. 피해 기업들은 은행들을 사기 혐의로 고소했지만 대법원은 2013년 최종 무혐의 처리했다. 이후 10년이 넘도록 곪은 채로 남아 있던 이 사건에 대해 윤석헌 금감원장이 지난해 12월 은행들에 보상을 권고했으나 우리은행을 제외한 타 은행들은 최근 끝내 이를 거절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konplash@sportsseoul.com
기사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