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칭앱
정상적인 앱과 유사하게 만들어진 악성 앱 아이콘 사례.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스포츠서울 이상훈 기자] 대출, 신용등급 확인을 위해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국내 금융기관 앱 등 모바일 정상앱을 사칭해 개인 신상정보 등을 유출시키는 악성 앱 분석건수가 증가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4일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이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 간 악성 앱 현황’에 따르면 악성앱 분석건수가 2015년 1665건에서 올해 8월 기준 7330건으로 약 4.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악성앱2
최근 5년간 발생한 악성 앱 숫자.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최근 5년간 악성 앱 총 분석건수는 1만7692건으로 2015년에서 2016년 소폭 감소한 후 매해 증가해 작년 4039건에서 올해 8월 기준 7330건으로 약 1.8배 늘어났다. 이 추세라면 올해 말, 1만 건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기관이나 포털의 정상 앱을 사칭하는 악성 앱은 육안상으로는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정상앱과 유사하게 만들 뿐 뿐 아니라 해커들이 악성 앱 유포 시 이용자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택배사칭’, ‘지인사칭’, ‘공공기관사칭’ 등 다양한 형태의 문자메시지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게 설치된 악성 앱은 설치 과정에서 이용자의 전화번호, 문자메시지 관리, 저장소 조회, 위치정보 동의 권한 등을 요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의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등이 손쉽게 해커 등에게 유출되고 있다.

악성앱3
악성 앱 설치를 위해 공공기관이나 지인을 사칭하는 문자메시지 유형.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이에 신용현 의원은 “과기부와 KISA 등의 정부당국은 사진, 비번, 공인인증서 등과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악성 앱 단속을 강화하고, 과도한 기기권한 요구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을 하루 빨리 강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신용현 의원은 “악성 앱은 정상앱과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용자 쉽게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만큼 정부당국의 철저한 모니터링과 빠른 대처가 절실하다”며 “다가오는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를 지적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