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라임자산운용 홈페이지 캡처.

[스포츠서울 권오철 기자] 1조6000억원 규모의 손실이 발생한 라임자산운용 사태의 수사가 핵심 관련자들이 잇따라 검거되면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이 손실을 얼마만큼 복구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로 남아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라임 사태를 수사하는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조상원 부장검사)는 라임 펀드를 설계·운용한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 라임 자금을 통해 코스닥 상장사들을 사냥하며 전주(錢主)로 지목된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의 신병을 최근 확보했다. 이들은 서울 성북동의 한 고급 단독주택에 은신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함께 숨어있던 심모 전 신한금융투자 팀장도 붙잡혔다. 심 전 팀장은 라임의 자금을 코스닥 상장사 ‘리드’에 투자해주는 대가로 이 회사 경영진으로부터 금품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서울남부지법은 전날 이 전 부사장과 심 전 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잠적 5개월여 만에 검거된 김 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 여부도 곧 결정될 전망이다.

검찰은 이들에 이어 김모 메트로폴리탄 회장과 김모 리드 회장, 이모 에스모 회장의 소재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부동산 시행사 메트로폴리탄은 라임에서 약 3000억원을 투자받았다. 라임 펀드 실사 결과 해당 자금은 필리핀 리조트 인수, 서울 서초구 오피스텔 개발 등에 투자됐으나 사업 중단 등으로 상당액은 회수가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김 회장이 메트로폴리탄에 투자된 라임 자금의 상당액을 횡령한 혐의가 있다고 보고 김 회장을 추적 중이다. 검찰은 김 회장이 해외로 도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경찰청을 통해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에 수배를 요청했다.

리드는 라임으로부터 약 500억원을 투자받았다. 검찰은 리드 실소유주 김 회장이 이종필 전 부사장과 친분을 이용해 리드에 라임 자금을 끌어다 주고 리드로부터 거액을 챙긴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리드 경영진은 김 회장에게 전달한 돈을 포함해 회삿돈 834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돼 최근 1심에서 징역 3~8년을 선고받았다. 코스닥 상장사 에스모의 실소유자인 이 회장은 에스모를 통해 다른 코스닥 상장사들를 인수했고 라임은 이 회장이 인수한 기업에 2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대출받은 뒤 잠적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리드 김 회장과 에스모 이 회장은 모두 엔터테인먼트업계 출신이며 각각 여배우 A, B씨와 결혼했다가 이혼한 기업사냥꾼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검찰 수사의 급물살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손실 복구는 요원한 상황이다. 핵심 피의자인 이 전 부사장이 붙잡힌 만큼 향후 관련자들의 부당 이득이 환수될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이미 확정된 펀드 손실액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의 환매 중단 사모펀드는 모(母) 펀드 4개와 이와 관련된 자(子)펀드 173개이며 수탁고는 지난해 말 기준 1조6679억원이다. 모펀드 가운데 ‘플루토 FI D-1호’, ‘테티스 2호’ 펀드에서만 1조원 넘는 손실이 사실상 확정됐다. 다른 두 개의 모펀드 ‘플루토 TF 1호’와 ‘크레디트 인슈어드’의 경우 자산이 외국에 있어 회수 가능한 투자금이 얼마나 될지 짐작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은행, 신한금융투자, 신한은행, 대신증권 등 라임 펀드 판매사들은 ‘배드뱅크’(Bad Bank)를 설립해 라임자산운용의 펀드를 넘겨받아 자산을 회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라임 경영진에 대한 불신이 커진 상황에서 자금 회수를 보다 신뢰있는 기관에 맡길 필요성이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일부 판매사가 라임 펀드의 부실을 인지하고도 펀드를 계속 판매했다며 금융감독원에 분쟁조정을 신청했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라임사태는 단순히 금융상품 불완전판매 사건이 아닌 판매사가 적극 개입한 사기판매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konplash@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