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장 40년 만기
국내 전체 가구 중 17%가 적자 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은행지점. 사진|연합뉴스

[스포츠서울 | 홍성효기자] 국내 전체 가구 중 17%가 적자 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8일 한국금융연구원이 공개한 ‘가계 재무 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활용해 계산한 결과 전체 2052만 가구의 17.2%인 354만 가구가 적자 가구에 해당했다.

적자 가구의 연평균 경상소득은 4600만원인데, 원리금 상환액은 4500만원, 필수 소비지출은 2400만원, 이자 외 비소비지출은 9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원리금 상환액이 경상소득의 98%로 벌어들인 돈 대부분을 빚 갚는 데 쓰고 있는 것이다.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이 높은 가구는 적자 가구의 61.5%를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 부채는 다른 가구들보다 4배가량 높은 4억원에 달했다.

보고서에서 노형식 연구위원은 “소득이 지출에 미치지 못해 빚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다면 문제”라며 “높은 LTI를 해소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적자 가구 중 66만가구(18.6%)는 세입자로부터 받은 전월세 보증금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을 가능성이 커 이들이 전세금 하락 등으로 충격을 받을 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 연구위원은 “이들 66만 가구의 평균 임대보증금은 2억1000만원”이라며 “적자이면서 임대를 놓는 가구는 2년마다 들어오는 보증금 인상분을 수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전셋값이 하락하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는 것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취약가구의 보증금이 경제충격 파급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hhong0820@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