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발언하는 파월 연준 의장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스포츠서울 | 홍성효기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준금리 인상 시사 발언으로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할 경우 불과 2개월 안에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 폭이 사상 최대 수준인 2%포인트(p)까지 벌어질 수 있고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과 함께 외국인 자금 유출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파월 의장은 7일(현지시간)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최근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최종적 금리 수준이 이전 전망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만약 전체적 지표상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금리 인상의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물가 안정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제한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시장에서는 오는 21∼22일 진행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이 ‘빅 스텝(기준금리 0.5%p 인상)’을 밟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달 FOMC 회의에서 새로 공개될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표시한 도표)의 올해 금리 전망치도 지난해 12월 당시(5.00∼5.25%·중간값 5.1%)보다 높아질 전망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지난달 23일 기준금리를 3.50%로 유지하고 약 1년 반 동안 이어온 금리 인상 행진을 멈춘 바 있다. 이는 주요국 가운데 가장 이른 동결이었다. 한은은 동결을 한 이유로 물가 경로 등 여러 불확실성이 너무 크고 기준금리 인상의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3.50%)는 미국(4.50∼4.75%)보다 1.25%p 낮은 상황이다. 1.25%p는 2000년 10월 1.50%p 이후 22년여 만에 가장 큰 금리 역전 폭이다. 오는 21∼22일 연준이 빅 스텝에 나서면 격차는 1.75%p까지 커진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7일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한·미 금리차에 대한 질문에 “금리 격차 자체가 환율과 외국인 자금에 기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하지만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는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더 높은 수익률을 노리기 위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지게 된다.

이미 연초 이후 원·달러 환율 흐름은 불안한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직후 3거래일 사이 약 2%(1.97%·25.5원)나 뛰어 지난해 12월 7일(1,321.7원) 이후 약 3개월 만에 처음 1320원 선을 넘어서기도 했다. 또 외국인 투자자들도 동결 이후 3거래일 연속 순매도로 약 1조원(9139억원)의 주식을 팔았고 채권시장에서도 2월 한 달 동안 2405억원의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이 총재는 7일 토론회에서 4월 기준금리에 대해 “물가를 우선적으로 보지만 부수적으로 금융안정과 환율 등도 고려하는데 4월 회의까지 꽤 시간이 있기 때문에 여러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shhong0820@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