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황철훈 기자]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자 최선의 방법은 예방이다. 2024년 갑진년 올해는 짝수 해에 태어난 사람들이 국가 검진을 받는 해다. 국가검진은 나이와 성별 등에 맞춘 총체적 기본 검진을 잘 포함하고 있다. 다만 기본 검진 외에 신경 써야 할 장기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췌장’이다.

췌장은 배 안쪽, 위장의 뒤쪽에 있는 15cm가량의 가늘고 긴 장기다. 췌장은 십이지장으로 소화액인 췌장액을 내보내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인슐린 등의 호르몬을 혈관으로 분비하는 기능을 한다. 문제는 몸 깊숙한 곳에 숨겨져 있다 보니 이상이 생겨도 진단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췌장암 발병률은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습관 변화 등으로 인해 환자가 인구 10만명 당 10명 이상으로 꾸준히 느는 추세다. 이는 서양과 비교해 비슷한 발병률이다.

췌장암은 재발 확률이 높고 쉽게 전이되는 암으로, 예후가 가장 나쁜 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초기 증상이 없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치료가 절대적이다. 50세 이상의 중장년층에서 최근 급격한 체중감소가 있거나 알 수 없는 복부 또는 등의 통증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찾아 진단받아봐야 한다. 또한 약물 치료에도 지속되는 소화 불량, 갑작스러운 당뇨 발병 등의 증상이 있을 때도 췌장암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특히 가족 중 췌장염·췌장암 환자가 있을 경우, 과거 건강검진에서 췌장염이나 췌장 낭종 등이 발견되었을 경우 전문의를 찾아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받아야 한다.

이대서울병원 민석기 암센터장(외과)은 “췌장암은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흡연, 음주, 고지방식이, 비만, 당뇨병이 있을 경우 위험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며 “췌장암 가족력이 없더라도 위험인자를 가졌을 경우 췌장암을 특히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췌장암은 진행된 후에 발견될 경우 수술로 절제할 수 있는 경우가 전체 환자의 20~30% 밖에 되지 않는다. 또 췌장과 주변 림프절을 제거한 후에도 암이 쉽게 재발하고 다른 장기로 쉽게 전이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만약 수술로 절제가 어려운 단계만큼 췌장암이 진행됐다면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은 6개월밖에 되지 않는다.

민석기 센터장은 “췌장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발견과 빠른 수술”이라며 “평소 췌장암 위험 인자를 많이 가졌거나 의심 증상이 약간이라도 있다면 건강검진 시 비용이 좀 추가되더라도 복부 초음파, CT 등 영상 검사를 반드시 추가하고 검진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또한 민 센터장은 “췌장암 진단을 받았더라도 수술로 절제가 가능한 경우도 있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와 보존 치료 등 시도해볼 수 있는 치료도 점차 많아지고 있다”며 “최대한 빠르게 간담췌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의학적 도움을 받고 치료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color@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