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20181220-1325-07-08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한 커피전문점에서 한 고객이 제로페이를 이용해 결제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스포츠서울 황철훈기자] 서울시 등이 야심차게 추진한 ‘제로페이’의 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은행권 결제금액은 약 1억9949만원으로 2억원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행 초기임을 감안한다 해도 매우 저조한 실적이란 지적이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종석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1월 제로페이 결제실적은 8633건, 결제금액은 약 1억9949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국내 개인카드(신용·체크·선불) 결제 건수 15억6000만건과 비교하면 0.0006%, 결제금액 58조1000억원에 비교하면 0.0003%에 불과하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들의 카드수수료 경감을 위해 수수료를 0원대로 대폭 낮춘 간편결제 플랫폼이다. 소비자가 가맹점에서 물건을 살 때 간편결제 사업자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가맹점 QR코드를 찍으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바로 이체되는 방식이다.

제로페이 실적이 이처럼 낮은 이유는 가맹점 수가 많지 않은 데다 개개인의 결제 습관을 바꾸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기 때문이다.

1월31일 기준 제로페이에 정식 등록한 가맹점 수는 4만6628개로 서울의 자영업자 약 66만명 기준으로 보면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결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로페이를 이용하고 싶어도 정작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실제 이들 가맹점의 한달 평균 이용 건수는 0.19건, 결제금액은 4278원으로 매우 미미했다.

또한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제로페이가 수수료면에서 유리하지만 최근 카드수수료 인하로 인해 그 체감효과는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점이다. 현재 연매출 3억원 이하인 가맹점의 신용카드 우대 수수료율은 체크카드 0.5%, 신용카드 0.8%다. 여기에 연매출 10억원 이하에 적용되는 부가가치세 매출세액공제한도를 적용하면 실질수수료율은 0.1~0.4%로 떨어진다.

그렇지만 제로페이 성패를 예단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의견도 많다. 정부가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제로페이에 소득공제율 40%를 적용하고 신용카드에 대한 세제 혜택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지난달에는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 방안을 통해 제로페이에 약 50만원 상당의 소액후불 결제 기능도 부여하기로 했다.

이처럼 정부가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각종 혜택과 기능을 확대해 나가는 만큼 앞으로 신용카드의 입지를 위협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color@sportsseoul.com

기사추천